translate Language
English 简体中文 繁體中文 한국어

평등원(뵤도인)의 역사와 복원 연대기

평등원(뵤도인)의 역사와 복원 연대기

평등원(뵤도인)의 역사는 복원의 역사라고 불릴 만큼 오랜 세월을 거쳐 진행되어 왔는데 이러한 수리와 개조가 현재 사원 양식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평등원(뵤도인)은 후지와라노 요리미치(992-1074)에 의해 1052년에 설립되었습니다. 우아하고 화려한 극락정토의 세계를 표현한 봉황당(호오도)과 아미타여래상은 일본 사회에 정토 신앙을 전파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초기에는 사원 경내가 지금보다 큰 규모였다고 전해집니다. 1336년 구스노키 마사시게(1294–1336)가 아시카가 다카우지가 이끄는 군대와 싸우면서 평등원(뵤도인) 주변에 화재를 일으켰고 광대한 경내의 많은 탑과 불당이 불에 타버렸으나, 다행히 봉황당(호오도)은 소실되지 않았습니다.

메이오 시대(1492-1501)에는 평등원(뵤도인)의 복구를 위해 정토원(조도인)이 세워졌습니다. 1640년에 나한당(라칸도)이 건축되었고 1654년에 최승원(사이쇼인)이 설립되었습니다. 1670년에 봉황당(호오도)의 대규모 복원이 이루어졌으며, 이때부터 정토종의 정토원(조도인)과 천태종의 최승원(사이쇼인) 두 종파가 협력하여 평등원(뵤도인)을 관리하게 됩니다.

그러던 중 1698년 우지 대화재가 발생하여 사원의 많은 곳이 크게 손상되는데, 그 여파로 봉황당(호오도)의 우아한 벽화가 낙서로 뒤덮이게 됩니다. 이후 메이지 시대(1868-1912)에 다시 수리 및 보존 운동이 시작되어, 봉황당(호오도)의 운중공양보살상이 수리되었고 쇼와 시대(1926-1989)에 대규모 복원이 이루어집니다. 믿음과 복원의 역사 속에서 봉황당(호오도)과 아미타여래 좌상에 이어 범종, 운중공양보살상, 천개, 봉황당(호오도) 중당의 여닫이문 그림 등이 차례로 국보로 지정되었습니다.

복원 과정에서 몇 가지 정교한 기술이 장식품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봉황당(호오도) 앞의 연못을 발굴하는 동안에는 에도 시대(1603-1867) 지층에서 귀중한 연꽃 씨앗도 발견되었습니다. 정성스럽게 돌본 결과 씨앗이 발아되었고 방문객들은 이제 평등원(뵤도인)에서 이 독특하고 소중한 연꽃을 즐길 수 있습니다.

2001년에는 뮤지엄 봉상관(호쇼칸)이 문을 열었습니다. 이후 몇 년 동안 사찰 주변 지역이 개발되면서 문화유산의 정체성을 지키려는 노력과 함께 방문객들이 극락정토의 세계관을 충분히 느낄 수 있도록 경관과 조경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습니다. 봉황당(호오도)을 정면에서 바라볼 때 방해되는 건물이 배경에 없어서 헤이안 시대에 표현된 극락정토의 아름다움과 사람들이 쌓아온 믿음을 편안하게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 해설문은 일본 관광청이 제작하였습니다. 별을 눌러 평가해주세요.

감사합니다!!